본문 바로가기
공인중개사 암기코드/(1차) 부동산학개론 및 민법
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암기코드 #6 (동심원이론, 선형이론, 다핵심이론)

by 꿀장수 2023. 11. 28.
반응형

안녕하세요? 꿀장수입니다.
오늘은 제가 23년 제34회 공인중개사 시험공부를 하며 익힌 암기코드를 공유하는 내용입니다.
금일 내용은 부동산학개론 여섯 번째입니다.

(학개론 주요 학자들의 마지막 시간)


§  도시성장구조이론

각 이론 별 학자의 매칭과 이론의 순서를 암기할 필요가 있다.

동심원 - 선형이론 - 다핵심이론 순서이다. (동선다 → 필자는 응가한다는 의미로 암기함)

 

 

버제스(E. Burgess)의 동심원이론  (중전저산통)

 - 버제스 키워드: 중전동심원에서 하를 낳을 때 산통이 컸다.

 - 도시생태학적 관점 + 침입, 경쟁, 천이

 - 도시는 5개의 동심원지대로 분화되면서 성장한다.

심업무지대(CBD): 상업 / 금융 / 서비스 시설이 집중된 도시의 핵심지역

전이지대(Zone In Transition, 천이지대, 점이지대라고도 함)
 ┎ 상업, 경공업, 주거기능이 혼재된 지역
 ┖ 주거환경이 극히 열악한 슬럼지역

소득지대(Zone of low income housing)

ㆍ중층지대(Zone of middle income housing)

근자지대(Commuter's zone)

 - 저소득지대 ~ 통근자지대까지가 주거지대이며, 잘 살수록 바깥쪽에 위치함
 - 중심지와 가까울수록 범죄, 빈곤 및 질병이 많아진다.

 

 - 튀넨의 고립국이론을 도시에 적용 + 단핵이론 + 소도시 + 오래된 도시

 

 

② 호이트(H. Hoyt)의 선형이론

 - 호이트 키워드: 선형, 부채꼴, 쐐기형

ㆍ고소득층 + 교통노선(교통망) +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입지

ㆍ부채꼴모양 + 쐐기형 지대 모형 (방사형)

ㆍ동심원이론과 선형이론은 단핵이론으로 부도심 이론이 적용되지 않는다.
   (버제스 이론과 공통점)

< 출처: doopedia.co.kr >

 

 

③ 해리스(C. Harris), 울만(E. Ullman)의 다핵심이론 (혜리's 울만하네~다핵심다~)

 - 다핵심 이론 키워드: 다핵심, 대도시, 신도시, 부도심

 - 다핵의 성립: 상호편익을 주는 동종은 집중, 이종(공장과 주택)은 분산

 

(제34회 기출)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입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버제스의 동심원 이론에서 통근자지대는 가장 외곽에 위치한다.
호이트의 선형이론에 따르면,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분화는 점이지대를 향해 직선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난다.
③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심이론에는 중심업무지구와 점이지대가 존재하지 않는다.
④ 뢰쉬의 최대수요이론은 운송비와 집적이익을 고려한 특정 사업의 팔각형 상권체계 과정을 보여준다.
⑤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은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장소에 입점하는가에 대한 8원칙을 제시한다.

중전저산 코드 적용
호이트의 선형 이론은 주요 교통축을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난다.

 

 

 


본문 내 교재내용과 암기코드는 박문각 교수님들의 강의를 기반으로 한 본 작성자가 2023년 제34회 공인중개사 시험의 수험기간 중 추가한 것임을 사전에 알려드립니다.
* 수강 교수님

1차 부동산학개론 김백중교수님, 민법 김덕수교수님

2차 공법 최성진교수님, 공시법 박윤모교수님, 세법 정석진교수님, 중개사법 정지웅교수님

 

감사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