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인중개사 암기코드/(1차) 부동산학개론 및 민법
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암기코드 #4 (상업입지론, 농업입지론, 공업입지론)

by 꿀장수 2023. 11. 24.
반응형

안녕하세요? 꿀장수입니다.
오늘은 제가 23년 제 34회 공인중개사 시험 공부를 하며 익힌 암기코드를 공유하는 내용입니다.
금일 내용은 부동산학개론 네 번째입니다.


< 학자 별 입지론 분석(농업입지론, 공업입지론, 상업입지론 + 계산 >


§  농업입지론 (대표 학자: 튀넨)

 

고립국 이론 (1개의 나라만 고려함)

② 6개의 동심원 이론 (시장 중심으로 6가지 작물의 원이 만들어진다) ▶ 버제스 동심원이론, 알론소의 입찰지대곡선 등에 영향

     지대(이윤) = 매상고(賣上高) - 생산비(고정값) - 수송비(거리에 따른 변수)

③ 수송비의 절감분이 지대가 된다 (위치가 지대를 결정한다)

     위치가 멀수록 수송비가 많이 튀네~ㄴ

④ 지대 곡선은 우하향한다 (지대와 시장과의 거리는 반비례)

 

(제33회 기출) 다음 설명에 모두 해당하는 것은?

튀넨의 위치지대설
② 마샬의 준지대설
③ 리카르도의 차액지대설
 마르크스의 절대지대설
⑤ 파레토의 경제지대론

▶ 농업, 입찰지대, 중심지 집약 농업 등을 통해 튀넨의 위치지대설임을 알 수 있다.

 

 

§  공업입지론 (베버는 ㅂ, 뢰쉬는 ㅅ)

① 최소용이론 (대표학자: 베버)

 - 베버의 키워드는

 - 최소용, 운송(최소-가장 중요), 노동(최소)

 - 등용선 이론: 최소 수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, 이에 따른 추가적인 수송비의 부담이 동일한 지저을 연결한 선

 - 원료가 무거우면(중량감소산업, 원료지수(원료÷제품=비용 개념)>1) 원료산지 근처에 입지한다.

   (원료가 물과 같이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 시장 근처에 입지한다)

 

(제34회 기출) 베버(A. Weber)의 최소비용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(단, 기업은 단일 입지 공장이고, 다른 조건은 동일)
① 최소비용지점은 최소운송비 지점, 최소노동비 지점, 집접이익이 발생하는 구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한다.
등비용선(isodapane)은 최소운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, 운송비와 노동비가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곡선을 의미한다.
③ 원료지수(material index)가 1보다 큰 공장은 원료지향적 입지를 선호한다.
④ 제품 중량이 국지원료 중량보다 큰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은 시장지향적 입지를 선호한다.
⑤ 운송비는 원료와 제품의 무게, 원료와 제품이 수송되는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.

 

② 최대요이론 (대표학자: 뢰쉬)

 - 뢰의 키워드는

 - 시장의 확대 가능성이 가장 풍부한 곳(=시장중심지)이 최적입지점이다.

 - 수요원추체이론

 

§  상업입지론 (크레컨헢)

리스탈러의 심지이론 (필자는 뽀로로 친구 크롱 말투를 빌려 크롱크롱 대신 크중크중으로 암기)

 - 최소요구치가 재화의 도달범위 내에 있어야 중심지가 성립한다.

 - 중심지가 계층화되며 서로 다른 도달범위와 최소요구범위를 가진다.

 

(제34회 기출) 크리스탈러(W. Christaller)의 중심지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최소요구범위 -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수요 요구 규모
② 최소요구치 - 중심지로부터 어느 기능에 대한 수요가 0이 되는 곳까지의 거리
배후지 - 중심지에 의해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변지역
④ 도달범위 - 판매자가 정상이윤을 얻을 만큼의 충분한 소비자들을 포함하는 경계까지의 거리
⑤ 중심지 재화 및 서비스 - 배후지에서 중심지로 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

 

일리의 소매 인력(引力)의 법칙

 - 최초로 두 개의 중심지 사이의 상업지역을 구분을 시도하고 체계화 시킴

 - 두 중심지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두 중심지의 크기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.

(제33회 기출) 레일지(W. Reilly)의 소매중력모형에 따라 C신도시의 소비자가 A도시와 B도시에서 소비하는 월 추정소비액은 각각 얼마인가? (단, C신도시의 인구는 모두 소비자이고, A, B도시에서만 소비하는 것으로 가정함)

① A도시 : 1억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B도시 : 9억원
② A도시 : 1억 5천만원          B도시 : 8억 5천만원
A도시 : 2억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B도시 : 8억원
④ A도시 : 2억 5천만원          B도시 : 7억 5천만원
⑤ A도시 : 3억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B도시 : 7억원



 

버스의 분기점 (큰버스경계하라)

 - 컨버스는 두 소매시장 간 상권의 경계지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레일리의 소매중력모형을 수정하였다.

 - 컨버스의 유인력 공식은 레일리와 동일하며 두 도시간에 인력이 동일하다는 전제로 풀이하면 된다.

(제32회 기출) 컨버스의 분기점 모형에 기초할 때, A시와 B시의 상권 경계지점은 A시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진 지점인가? (단, 주저진 조건에 한함)


① 5km     ② 10km     ③ 15km      20km     ⑤ 25km


▶ A시로부터 떨어진 지점을 구하기 때문에 A-B시의 직선거리가 30km이므로 15km는 초과할 것이다 (20km 또는 25km)

 

④ 허프의 확률모형

 - 도시단위에서 상점단위의 이론으로 전환하면서 소비자들의 특정 상점 구매를 설명할 때 실측거리, 시간거리, 매장규모와 같은 공간요인뿐만 아니라 효용이라는 비공간요인도 고려하였다.

 - 다수의 중심지와 다수의 배후지 간에 적용이 가능하다.

 - 확률결정요소 : 점포의 면적, 소비자와 점포와의 거리, 경쟁 점포의 수

 - A시장점유율 = (A 유인력) / (A유인력 + B유인력 + C유인력)

 - 공간마찰계수의 결정요인 : 교통조건+상품의 특성 (빡침계수)

   ┖ 빡침계수: 교통조건이 좋을 수록, 전문품일수록 값이 작아진다.

 - 적당한 거리에 고차중심지가 있으면 인근의 저차중심지는 통과한다.

 - 고정된 상권을 놓고 경쟁함으로써 제로섬게임이 된다는 한계점이 있다.

(제34회 기출) 허프 모형을 활용하여 점포 A의 월 매출액을 추정하였는데, 착오로 의해 공간(거리)마찰계수가 잘못 적용된 것을 확인하였다. 올바르게 추정한 점포 A의 월 매출액은 잘못 추정한 점포 A의 월 매출액보다 얼마나 증가하는가? (단, 주어진 조건에 한함)

① 1억원     ② 2억원      3억원      4억원     ⑤ 5억원


∴ 12억 - 9억 = 3억

본문 내 교재내용과 암기코드는 박문각 교수님들의 강의를 기반으로 한 본 작성자가 2023년 제 34회 공인중개사 시험의 수험기간 중 추가한 것임을 사전에 알려드립니다.
* 수강 교수님

1차 부동산학개론 김백중교수님, 민법 김덕수교수님

2차 공법 최성진교수님, 공시법 박윤모교수님, 세법 정석진교수님, 중개사법 정지웅교수님

 

감사합니다.

반응형